본문 바로가기
감동 시(詩, Poem)

[명시감상] 노천명의 「이름없는 여인이 되어」 자연스런 삶에 대한 동경

by 램 Ram 2025. 3. 25.
반응형

이름없는 여인이 되어

노천명

 

어느 조그만 산골로 들어가

나는 이름없는 여인이 되고 싶소

초가지붕엔 박넝쿨을 올리고

삼밭에는 오이랑 호박을 놓고

들장미로 울타리를 엮어

마당엔 하늘을 욕심껏 들여놓고

밤에는 실컷 별을 안고,

부엉이가 우는 밤도 내사 외롭지 않겠소

기차가 지나가 버리는 마을

놋양푼의 수수엿을 녹여 먹으며

내 좋은 사람과 밤이 깊도록

여우 나는 산골 이야기를 하면

삽살개도 달을 짓고

나는 여왕보다 행복하겠소.

 

ⓒ네이버이미지
ⓒ네이버이미지


 

노천명의 시 이름없는 여인이 되어는 도시 문명을 벗어나 자연 속에서 평범한 삶을 살고 싶은 소망을 노래한 작품입니다. 시인은 바쁜 현대 사회에서 벗어나 소박한 삶을 추구하며,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삶을 이상적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Ⅰ. 시를 보는 시선

1. 자연 속 삶의 동경

- "어느 조그만 산골로 들어가 나는 이름없는 여인이 되고 싶소"

시의 첫 구절에서 화자는 익명성이 보장된 한적한 산골에서 살아가고 싶다는 소망을 드러냅니다. 이는 사회적 지위나 명예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평온한 삶을 살고 싶다는 의미입니다.

 

2. 소박한 삶의 아름다움

- "초가지붕엔 박넝쿨을 올리고 / 삼밭에는 오이랑 호박을 놓고"

전통적인 초가집과 자연 친화적인 생활 모습을 묘사하며, 검소하고 단순한 삶의 가치를 강조합니다.

 

- "들장미로 울타리를 엮어 / 마당엔 하늘을 욕심껏 들여놓고"

인위적인 울타리가 아닌 들장미로 둘러싸인 공간을 꿈꾸며,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3. 자연 속에서의 충만한 행복

- "밤에는 실컷 별을 안고, 부엉이가 우는 밤도 내사 외롭지 않겠소"

자연 속에서 별을 바라보며 만족감을 느끼고, 고요한 밤을 즐기는 모습이 나타납니다. 이는 인간의 외로움을 자연이 채워줄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 "삽살개도 달을 짓고 나는 여왕보다 행복하겠소."

왕궁의 화려한 삶보다 자연 속에서의 소박한 행복이 더 가치 있다는 철학적 사유를 담고 있습니다.


출판 시인생각
출판 시인생각


Ⅱ. 주제 및 감상평

1. 주제

이 시는 자연 속에서 소박하고 평온한 삶을 살고 싶은 소망을 담고 있습니다. 화자는 도시 문명을 떠나 한적한 산골에서 익명의 존재로 살아가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자연과 함께하는 단순한 삶 속에서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음을 강조하며, 물질적인 풍요보다는 정신적인 만족을 중시하는 태도를 보여줍니다.

 

2. 감상평

이 시는 한적한 산골에서의 삶을 섬세하고 따뜻한 시적 언어로 그려내고 있습니다.

 

(1) 자연과 조화로운 삶의 이상

- 화자는 “초가지붕엔/ 삼밭에는 오이랑 호박을 놓고와 같은 표현을 통해 직접 농사를 지으며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 마당엔 하늘을 욕심껏 들여놓고 / 밤에는 실컷 별을 안고등의 구절은 자연을 온전히 누리며 사는 삶의 여유로움을 보여줍니다.

 

(2) 사회적 속박에서 벗어나고 싶은 소망

- 나는 이름없는 여인이 되고 싶소라는 구절은 개인의 정체성이 사회적 지위나 명예가 아닌 본연의 모습으로 존재하길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습니다.

- 도시의 분주함을 떠나, 익명성을 지닌 채 평범한 삶을 살고자 하는 바람이 느껴집니다.

 

(3) 소박한 행복의 가치

- 놋양푼의 수수엿을 녹여 먹으며와 같은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작은 것에서 행복을 찾는 삶의 태도가 드러납니다.

- “여우 나는 산골 이야기를 하면 삽살개도 달을 짓고/ 나는 여왕보다 행복하겠소.”에서 화자는 자연과 함께하는 순간이 왕궁의 화려한 삶보다 더 큰 만족감을 준다고 말합니다.


이 시는 도시적 삶과 대비되는 전원적 삶의 가치를 강조하며, 독자들에게 현대 문명의 피로 속에서 벗어나 자연과 함께하는 삶의 여유를 꿈꾸게 합니다. 노천명의 서정적인 언어는 독자들에게 따뜻하고 정겨운 분위기를 전달하며, 단순한 삶이 주는 깊은 행복을 다시금 되새기게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