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기능식품131

〔강낭콩〕 행복한 삶을 가져다 주는 콩 강낭콩의 꽃말은 행복한 삶입니다. 그래서 빵의 소나 떡의 고물로 많이 이용되어 우리에게 행복한 삶을 가져다줍니다. 강낭콩은 단백질, 식이섬유, 비타민 B군이 풍부해 건강식으로 널리 이용됩니다. 콩자반, 된장콩, 샐러드, 수프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고 있습니다.1. 강낭콩의 식물적 특성(1) 생물학적 분류- 학명 : Phaseolus vulgaris L.- 과명 : 콩과(Fabaceae)- 원산지 : 중앙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 (2) 생육 형태일년생 초본식물로, 한 해에 싹이 나고 꽃이 피며 열매를 맺은 후 생을 마감합니다.덩굴형(만주형)과 직립형(관목형, 부시형)이 있으며, 품종에 따라 생육 형태가 다릅니다. (3) 생장 조건온난한 기후를 선호하며, 기온이 15~25℃일 때 생육이 좋습니다.직사광선을 .. 2025. 5. 28.
귀신 쫓는 〔팥〕 영양성분 및 효능과 다양한 활용법 팥(Vigna angularis)은 한국에서 오랫동안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어 온 중요한 작물 중 하나입니다. 팥은 팥죽, 찰떡, 팥소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어 전통문화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질병이나 액운을 막는다는 민간신앙도 있습니다.1. 팥의 식물적 특성- 학명 : Vigna angularis- 과(科) : 콩과(Fabaceae)- 속(屬) : 비냐속(Vigna)- 원산지 : 동아시아(중국, 한국, 일본 등)- 생육 형태 : 한해살이풀(1년생 초본)- 줄기 : 가늘고 곧게 자라며, 가지가 잘 갈라지는 형태- 잎 : 세 개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 겹잎 (삼출엽), 콩과 식물의 전형적인 형태- 꽃 : 작고 나비 모양, 주로 흰색 또는 보라색- 열매(꼬투리) : 길고 가는 꼬투리 안에 여러 개.. 2025. 5. 27.
녹색 콩 〔녹두〕 100가지 독을 치유하는 천연 해독제 녹두(綠豆, Vigna radiata)는 콩과(豆科)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일년생 식물)로, 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는 중요한 콩과작물 중 하나입니다. 특히 한국, 중국, 인도 등에서 많이 재배하며, 식재료로 자주 이용됩니다.1. 녹두의 식물적 특징- 학명 : Vigna radiata- 분류 : 콩과(Fabaceae), 녹두속(Vigna)- 생육기간 : 약 70~90일- 형태 : 덩굴성 또는 직립성 초본- 잎 : 3개로 갈라진 삼출복엽(콩과 식물 공통 형태)- 꽃 : 노란색 또는 연한 녹색, 자잘한 나비모양- 열매(꼬투리) : 길이 6~12cm, 꼬투리 안에 작은 녹색 씨앗이 다수 있음- 씨앗 : 작고 둥글며 연녹색, 떡, 나물, 숙주나물 등으로 활용2. 생육 환경- 온도 : 따뜻한 기후를 좋아하며, .. 2025. 5. 26.
바다〔고둥〕 고동, 보말, 지역마다 이름이 다르고 종류도 많네 고동은 연체동물문 복족강에 속하는 나사형태의 패각을 가진 동물의 총칭입니다. 표준어는 '고둥'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은 고동이라고 표현하고, 자산어보 등 고문헌에도 고동이라고 나옵니다. 조개처럼 단단한 껍데기를 가진 바다 달팽이류입니다. 한국의 갯벌이나 해안에서 쉽게 볼 수 있으며, 생태계의 건강성과 해양 환경의 변화를 잘 반영하는 지표 생물로도 평가됩니다.1. 고둥의 생태적 특성(1) 서식 환경- 주로 갯벌, 조간대(밀물과 썰물이 교차하는 해안)에 서식- 일부 고둥은 바위틈, 모래, 해조류 사이에 숨기도 함.- 염분, 온도, 수질 변화에 강한 내성을 가지는 종도 많음. (2) 먹이 활동- 주로 유기물, 미생물, 미세조류(규조류)를 먹으며 살아감.- 부착조류나 바닥의 부유물을 긁어먹는 역할을 함.- 해양 .. 2025. 5. 19.
바다〔성게〕 천연보양식 바다의 보물 바다성게(Sea Urchin)는 극피동물문(Echinodermata)에 속하는 해양 무척추동물로, 주로 얕은 바다의 암반 지역에서 발견됩니다. 영양가가 높고 건강에 좋은 고급스런 보양식 해산물입니다.1. 바다성게의 생태적 특성(1) 서식 환경- 암반 지역이나 해조류가 풍부한 곳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조간대부터 수심 100m 이하까지 다양한 수심에서 발견됩니다.- 대양이나 바닷속 초원 등에서도 서식하지만, 암반에 잘 부착된 해조류가 있는 환경을 선호합니다. (2) 먹이와 먹이활동- 초식성 성격이 강하며, 주로 해조류(특히 갈조류)를 섭취합니다.- 일부 종은 부착 생물이나 유기물 찌꺼기도 먹습니다.- 이들의 먹이 활동은 해조류 군집에 영향을 주어 해양 생태계 균형을 조절합니다. (3) 방어 및 이동- 전신.. 2025. 5. 15.
먹으면 사람이 된다는 〔마늘〕 한국인의 대표 양념 마늘(Allium sativum)은 백합과(현재는 부추과Allioideae로 분류되기도 함)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풋마늘, 마늘쫑, 비늘줄기(알뿌리)를 식용으로 사용하는 한국인의 대표적 양념 작물입니다.1. 마늘의 식물적 특성(1) 형태적 특성- 비늘줄기(구근) : 마늘의 주요 식용 부위로, 여러 개의 '쪽마늘'(편 또는 정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잎 : 좁고 길며 편평한 선형(線形)으로, 청록색을 띱니다.- 줄기 : 지상부에 보이는 줄기는 없으며, 잎집이 중첩되어 있는 구조로 자라납니다.- 화경(꽃줄기) : 꽃이 피는 종에서는 중앙에 둥글게 말린 꽃줄기가 자라며, 끝에 산형화서의 작은 꽃들이 달립니다. 대부분의 재배종은 꽃이 피지 않거나 번식력이 낮습니다. (2) 생장 특성- 냉량성 작물 .. 2025. 5. 9.
〔다슬기〕 간 해독 및 숙취 해소에 최고 다슬기(학명 : Semisulcospira libertina)는 민물에 서식하는 작은 연체동물로, 우리나라 강, 하천, 계곡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담수 고둥입니다. 다슬기는 크게 고둥목 (Neogastropoda) 혹은 입수구고둥목(Sorbeoconcha)에 속하며, 그중에서도 다슬기과(Semisulcospiridae) 또는 고둥과(Pleuroceridae)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기도 합니다.1. 다슬기의 생태적 특성(1) 서식 환경주로 강이나 하천의 맑고 유속이 있는 물에서 서식합니다. 물이 흐르는 자갈이나 돌 밑에 숨어 있는 것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수질이 좋고 오염이 적은 곳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다슬기의 존재 여부는 해당 수역의 청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 (2) 먹이와 생태.. 2025. 5. 4.
〔꽃게〕 단백질과 미네랄이 풍부한 건강식 꽃게(Portunus trituberculatus)는 단백질과 미네랄이 풍부하여 건강식으로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 연안에서 중요한 수산자원으로, 그 생태적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자원 보호와 지속 가능한 어업 관리에 필수적입니다.1. 꽃게의 생태적 특성(1) 서식지 및 분포- 주요 서식지 : 꽃게는 주로 서해와 남해의 얕은 연안에서 서식하며, 모래나 진흙이 섞인 바닥을 선호합니다.- 수온 조건 : 활동이 활발한 수온은 약 17~30℃로, 따뜻한 바닷물을 선호합니다. (2) 생애 주기 및 번식 습성- 산란 시기 : 꽃게의 산란기는 주로 5월에서 9월 사이이며, 특히 6~7월에 집중됩니다.- 산란 횟수 및 알 수 : 한 마리의 암컷 꽃게는 1년에 2~3회 산란하며, 한 번에 수십만 개의 알을 .. 2025. 5. 2.
쓴맛 나는 보약 〔고들빼기〕 몸 속 노폐물 제거에 뛰어난 효과 고들빼기(학명: Lactuca indica)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입니다. 고들빼기는 "쓴맛 나는 보약" 같은 존재입니다. 특히 봄철 환절기 체력 보충과 몸속 노폐물 제거에 뛰어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왕고들빼기와 꽃 ⓒ네이버이미지1. 고들빼기의 식물적 특성(1) 생육형태고들빼기는 여러해살이(다년생) 초본식물입니다. 겨울에는 땅 위의 부분이 말라죽고, 이듬해 봄에 뿌리에서 새싹이 올라옵니다. (2) 크기보통 1m 내외로 자라며, 조건이 좋으면 1.5m까지도 성장할 수 있습니다. (3) 잎잎은 길고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습니다. 어린잎은 부드럽고 연하지만 성장하면서 질겨지고 쓴맛이 강해집니다. (3) 꽃여름(6~8월)에 노란색 꽃을 피웁니다. 국화과 식물답게 작은 꽃들이 모여 하나.. 2025.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