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식동원49

〔참깨〕 날마다 깨가 쏟아지는 삶을 살아가는 방법 참깨(Sesamum indicum)는 인류가 오랫동안 재배해 온 중요한 유지작물 중 하나로, 고소한 맛과 높은 영양가로 인해 다양한 음식에 사용됩니다. 예로부터 우리 음식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참깨입니다. 참깨의 특성과 영양성분 효능, 국산과 중국산 참깨의 구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Ⅰ. 참깨의 식물적 특성1. 분류학적 특성 - 과명: 참깨과(Pedaliaceae) - 학명: Sesamum indicum L. - 일년생 초본식물로, 열대 및 아열대 기후에서 잘 자랍니다. 2. 형태적 특징 - 줄기: 직립형이며 키는 보통 1~1.5m까지 자랍니다. - 잎: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며, 모양은 다양하지만 길쭉하고 끝이 뾰족한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 꽃: 꽃은 보통 흰색이나 연한 보라색으로, 종 .. 2025. 4. 6.
밥심으로 사는 한국 사람들 〔쌀〕의 영양성분과 효능 벼(Oryza sativa)는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중요한 식량으로 여겨옸으며,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식량작물 중 하나로, 벼과(Poaceae)에 속하는 식물입니다.Ⅰ. 벼의 식물적 특성벼는 온난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수온 10~40℃에서 생육이 가능합니다.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수생성 작물로, 침수 상태에서 성장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1. 뿌리 - 잔뿌리 형태의 섬유근계를 가지며, 주로 표면 근처에서 분포하여 산소 공급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수경재배 시 공기뿌리(Aerating roots)를 발달시키기도 합니다.  2. 줄기 - 원기둥 모양의 중공 구조로 되어 있으며, 마디와 마디 사이가 길어집니다. - 물에 잠겨도 생존할 수 있도록 내부에 통기조직(aerenchyma)이 발달되어.. 2025. 4. 3.
봄철 미각을 살리는 〔두릅〕 영양성분과 효능 및 요리법 두릅나무(Aralia elat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입니다. 두릅나무는 봄철 미각을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나무이면서도, 약용과 생태적으로도 유용한 식물입니다. 단, 가시가 많아 조심해야 하며, 무분별한 채취는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1. 두릅나무의 특징- 학명 : Aralia elata- 분류 : 두릅나무과(Araliaceae) - 생육환경 : 산지, 야산, 들판 가장자리 등에서 자라며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선호 - 높이 : 2~5m 정도 성장하는 작은 나무 - 줄기 : 가시가 많고 껍질이 거칠며 회색빛을 띔 - 잎 :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크고 넓음 - 꽃 : 7~9월경에 작은 흰색 꽃이 핌 - 열매 : 9~1.. 2025. 3. 29.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가지〕의 영양성분 및 효능과 요리법 어디서든 잘 자라고 많이 달리는 가지는 항산화 성분 등 건강기능성분이 많아 우리의 건강을 지켜주기에 충분한 채소입니다. 어릴 적 어머니가 밥이 끓을 때 밥 위에 얹어서 익힌 가지를 손으로 찢어 간을 하고 참기름에 무쳐주던 가지나물을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Ⅰ. 가지의 식물적 특성1. 분류 및 학명- 과 : 가지과(Solanaceae) - 속 : 가지속(Solanum) - 학명 : Solanum melongena 2. 형태적 특징(1) 줄기초본성 다년생 식물이지만 일반적으로 한해살이로 재배됩니다. 줄기는 녹색 또는 보라색을 띠며 약간 가시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잎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크고, 짙은 녹색이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입니다.  (3) 꽃보라색 또는 연한 자주색 꽃이 피며, 별 모양으로.. 2025. 3. 23.
미녀를 만드는 〔석류〕가 6개 암을 예방한다고? 석류가 대장암과 방광암, 유방암, 전립샘암, 폐암, 피부암 6개 암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석류를 식단에 포함시키면 암 발병률이 20% 이상 내려간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식품 과학 및 영양(Food Science & Nutrition)』 최근호에 실렸다.Ⅰ. 석류(Pomegranate)의 식물적 특성석류(학명 Punica granatum)는 도금양과(Lythr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 또는 작은 교목으로, 주로 온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자랍니다.  1. 기본적인 생태적 특징- 원산지 : 페르시아(현재의 이란) 및 인도 북서부 - 생육 환경 : 건조하고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배수가 좋은 토양을 선호함 - 수명 : 50~200년 정도로 장수하는.. 2025. 3. 14.
남도음식의 대명사 〔홍어〕 그 깊은 맛에 취하다 홍어는 특유의 강한 암모니아 냄새와 쫀득한 식감으로 유명한 어종으로, 한국에서 특히 전라도 지역에서 즐겨 먹는 식재료입니다. Ⅰ. 홍어의 주요 특성1. 발효 특성 - 홍어는 자연 발효를 통해 강한 암모니아 냄새를 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 일반적인 생선과 달리 신선할수록 냄새가 없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발효가 진행되어 독특한 향이 생깁니다. - 이는 홍어가 삼투조절을 위해 요소(urea)를 체내에 축적하는 특징이 있기 때문입니다. - 발효 과정에서 요소가 분해되어 암모니아(NH₃)가 생성되며, 강한 자극적인 냄새를 띠게 됩니다.  2. 식감과 맛 - 발효된 홍어는 쫄깃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 씹을수록 톡 쏘는 매운맛과 감칠맛이 느껴지며, 특유의 향이 입안에 퍼집니다. - 코.. 2025. 3. 7.
입안 가득 채우는 바다맛 〔가리비〕 영양성분 및 효능, 조리법 가리비(scallop)는 껍데기가 부채 모양으로 부챗살 같은 골이 파인 이매패강(二枚貝綱) 가리비과(Pectinidae)에 속하는 조개류입니다. 얕은 바다에 서식하는 바닷물조개이며, 때로는 모래나 자갈 속에서 무더기로 발견되기도 합니다. 영양가 높은 고단백 저지방 해산물로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며, 맛이 뛰어나 국내외에서 양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대표적인 조개류입니다.1. 생태적 특성(1) 생물학적 특성- 학명 : Patinopecten yessoensis- 서식지 : 한반도 동해, 서해, 남해 및 일본, 북태평양 연안 - 껍데기 특징 : 부채꼴 모양으로, 좌우 대칭이면서 물결 모양의 골이 있음. - 운동 능력 : 일반적인 조개류와 달리 빠르게 헤엄칠 수 있음.                      패각.. 2025. 2. 27.
〔소라〕의 꿈으로 피로회복, 혈압조절, 면역력이 강화됩니다 소라는 연체동물문 복족강에 속하는 어패류로, 주로 따뜻한 바다의 암초 지대에서 서식합니다. 식용으로 인기가 많으며, 독특한 맛과 식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전 연안에서 볼 수 있으나 특히 남해안에 많습니다. 서식장은 외양의 암초지대이고, 해조류 특히 갈조류가 많은 곳입니다. 수심은 조간대(潮間帶)에서부터 수심이 15m 되는 데까지이나, 2∼5m 되는 데 주로 많습니다. 1. 소라의 생물적 특성- 학명 : Turbo cornutus - 분류 : 연체동물문(Mollusca) → 복족강(Gastropoda) → 소라과(Turbinidae) - 서식지 : 한국, 일본, 중국 등의 해안 바위나 암초 지대 - 크기 : 평균 10~15cm - 수명 : 약 10년 2. 소라의 외형적 특징- 껍데기는 두껍고 .. 2025. 2. 24.
〔오징어〕 단백질, 타우린, 비타민 B12 등이 풍부한 건강식품 오징어는 두족류(연체동물문, Cephalopoda)에 속하는 해양 생물로, 높은 지능과 빠른 움직임을 특징으로 합니다. 단백질, 타우린, 비타민 B12 등이 풍부한 건강식품으로, 심혈관 건강, 피로 해소,, 두뇌 건강,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됩니다. 다만, 콜레스테롤 조절을 위해 과다 섭취는 피해야 합니다.Ⅰ. 오징어의 생태적 특성1. 종류(1) 한치(창오징어, Loligo spp.)✔ 특징- 몸이 길고 가늘며 투명한 느낌 - 주로 여름철에 잡히며, 살이 부드럽고 단맛이 강함 - 일본과 한국에서 회나 숙회로 인기  ✔ 주요 서식지 : 제주도, 남해, 일본 연안  ✔ 활용 : 회, 숙회, 튀김, 구이, 건오징어 (2) 무늬오징어(Sepioteuthis lessoniana)✔ 특징- 몸에 무늬가 있으며, 색.. 2025.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