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식동원122 쓰러진 소도 일으켜 세운다는 〔낙지〕의 영양성분과 효능 쓰러진 소도 일으켜 세운다는 낙지는 우리 요리에서 매우 인기 있는 해산물로, 그 특성과 생태는 매우 흥미롭습니다. 낙지의 주산지, 잡는 법, 영양성분과 효능 및 요리법을 알아보겠습니다.1. 낙지의 주요 특성(1) 생물학적 특성- 연체동물(두족류)로, 몸은 부드럽고 머리와 다리가 구분됩니다.- 다리는 총 8개이며 빨판이 있어 먹이를 잡거나 바닥을 기어 다니는 데 사용됩니다.- 크기는 대개 20~30cm 정도이며,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2) 지능- 낙지는 매우 지능이 높은 동물로 알려져 있어요.- 미로 찾기, 탈출, 학습 능력이 뛰어나고, 사람 얼굴을 구별하기도 한다는 연구도 있어요. (3) 자연환경과 서식지- 한국, 일본, 중국 등지의 연안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갯벌이나 바위 틈 등 숨어 지낼 수 있.. 2025. 4. 8. 〔참깨〕 날마다 깨가 쏟아지는 삶을 살아가는 방법 참깨(Sesamum indicum)는 인류가 오랫동안 재배해 온 중요한 유지작물 중 하나로, 고소한 맛과 높은 영양가로 인해 다양한 음식에 사용됩니다. 예로부터 우리 음식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참깨입니다. 참깨의 특성과 영양성분 효능, 국산과 중국산 참깨의 구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Ⅰ. 참깨의 식물적 특성1. 분류학적 특성 - 과명: 참깨과(Pedaliaceae) - 학명: Sesamum indicum L. - 일년생 초본식물로, 열대 및 아열대 기후에서 잘 자랍니다. 2. 형태적 특징 - 줄기: 직립형이며 키는 보통 1~1.5m까지 자랍니다. - 잎: 잎은 마주나거나 어긋나며, 모양은 다양하지만 길쭉하고 끝이 뾰족한 형태가 일반적입니다. - 꽃: 꽃은 보통 흰색이나 연한 보라색으로, 종 .. 2025. 4. 6. 밥심으로 사는 한국 사람들 〔쌀〕의 영양성분과 효능 벼(Oryza sativa)는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중요한 식량으로 여겨옸으며,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식량작물 중 하나로, 벼과(Poaceae)에 속하는 식물입니다.Ⅰ. 벼의 식물적 특성벼는 온난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수온 10~40℃에서 생육이 가능합니다.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수생성 작물로, 침수 상태에서 성장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1. 뿌리 - 잔뿌리 형태의 섬유근계를 가지며, 주로 표면 근처에서 분포하여 산소 공급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수경재배 시 공기뿌리(Aerating roots)를 발달시키기도 합니다. 2. 줄기 - 원기둥 모양의 중공 구조로 되어 있으며, 마디와 마디 사이가 길어집니다. - 물에 잠겨도 생존할 수 있도록 내부에 통기조직(aerenchyma)이 발달되어.. 2025. 4. 3. 한국인 가장 많이 먹는 산나물 〔고사리〕 영양성분 및 효능과 활용법 고사리(Pteridium aquilinum)는 고사리과(Dennstaedt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양치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입니다. 산과 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합니다.Ⅰ. 고사리의 식물적 특성1. 생육 환경 - 주로 산과 들, 양지바른 풀밭에서 잘 자람 -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토양을 선호 - 강한 번식력으로 넓은 지역에 군락을 형성 2. 뿌리와 줄기 - 지하경(땅속줄기)이 길게 뻗어 번식 - 지하경에서 봄철에 어린 고사리가 돋아남 3. 잎의 특징 - 잎은 1~2m까지 자랄 수 있으며, 깃털처럼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모양 - 어린잎은 둥글게 말려 있으며, 자라면서 펴짐 - 어린순(영아부)은 부드러우며 식용 .. 2025. 3. 31. 봄철 입맛 돋우는 산나물의 왕 〔취나물〕 영양성분 및 효능과 요리법 취나물은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입니다. 취나물이라는 이름은 특정한 한 종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취나물로 이용되는 다양한 국화과 식물을 통칭하는 말입니다.Ⅰ. 취나물의 식물적 특성1. 생육 환경 - 해발 500m 이상의 산지에서 잘 자라며, 습기가 많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선호합니다. - 반그늘에서 생육이 왕성하지만, 햇빛이 충분한 환경에서도 잘 자랍니다. 2. 잎의 특징 - 넓고 부드러운 잎을 가지며, 종류에 따라 타원형, 심장형, 또는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 형태를 띱니다. - 어릴 때는 연하고 부드러우며, 성장하면서 잎이 두꺼워지고 질겨집니다. 3. 줄기와 뿌리 - 줄기는 비교적 부드러우며, 키는 보통.. 2025. 3. 30. 봄철 미각을 살리는 〔두릅〕 영양성분과 효능 및 요리법 두릅나무(Aralia elat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입니다. 두릅나무는 봄철 미각을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나무이면서도, 약용과 생태적으로도 유용한 식물입니다. 단, 가시가 많아 조심해야 하며, 무분별한 채취는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1. 두릅나무의 특징- 학명 : Aralia elata- 분류 : 두릅나무과(Araliaceae) - 생육환경 : 산지, 야산, 들판 가장자리 등에서 자라며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선호 - 높이 : 2~5m 정도 성장하는 작은 나무 - 줄기 : 가시가 많고 껍질이 거칠며 회색빛을 띔 - 잎 :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크고 넓음 - 꽃 : 7~9월경에 작은 흰색 꽃이 핌 - 열매 : 9~1.. 2025. 3. 29.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가지〕의 영양성분 및 효능과 요리법 어디서든 잘 자라고 많이 달리는 가지는 항산화 성분 등 건강기능성분이 많아 우리의 건강을 지켜주기에 충분한 채소입니다. 어릴 적 어머니가 밥이 끓을 때 밥 위에 얹어서 익힌 가지를 손으로 찢어 간을 하고 참기름에 무쳐주던 가지나물을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Ⅰ. 가지의 식물적 특성1. 분류 및 학명- 과 : 가지과(Solanaceae) - 속 : 가지속(Solanum) - 학명 : Solanum melongena 2. 형태적 특징(1) 줄기초본성 다년생 식물이지만 일반적으로 한해살이로 재배됩니다. 줄기는 녹색 또는 보라색을 띠며 약간 가시가 있을 수 있습니다. (2) 잎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크고, 짙은 녹색이며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입니다. (3) 꽃보라색 또는 연한 자주색 꽃이 피며, 별 모양으로.. 2025. 3. 23. 미녀를 만드는 〔석류〕가 6개 암을 예방한다고? 석류가 대장암과 방광암, 유방암, 전립샘암, 폐암, 피부암 6개 암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석류를 식단에 포함시키면 암 발병률이 20% 이상 내려간다는 내용의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식품 과학 및 영양(Food Science & Nutrition)』 최근호에 실렸다.Ⅰ. 석류(Pomegranate)의 식물적 특성석류(학명 Punica granatum)는 도금양과(Lythr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 또는 작은 교목으로, 주로 온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자랍니다. 1. 기본적인 생태적 특징- 원산지 : 페르시아(현재의 이란) 및 인도 북서부 - 생육 환경 : 건조하고 따뜻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배수가 좋은 토양을 선호함 - 수명 : 50~200년 정도로 장수하는.. 2025. 3. 14. 봄의 전령사 구수한 〔냉이〕의 영양성분과 효능 및 요리법 냉이(Capsella bursa-pastoris)는 십자화과(Brassicaceae)에 속하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 풀로, 봄철에 흔히 볼 수 있는 식용 및 약용 식물입니다. 이른 봄 국과 나물요리로 활용하고, 한방에서는 이뇨제, 지혈제로 사용되며, 간 기능 강화에도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Ⅰ. 냉이의 식물적 특성1. 잎 - 뿌리에서 나는 잎(로제트 잎)은 민들레 잎처럼 깊게 갈라진 형태입니다. - 줄기에서 나는 잎은 크기가 작으며, 어긋나게 배열됩니다. 2. 꽃 - 3~5월에 흰색의 작은 네 잎 꽃이 모여 핍니다. - 십자화과 식물답게 꽃잎이 십자 모양으로 배열됩니다. 3. 열매 - 삼각형 또는 하트 모양의 납작한 열매를 맺으며, 마치 목자의 주머니(목자지갑)처럼 생겨 학명이 "bursa-pas.. 2025. 3. 13. 이전 1 2 3 4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