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2

[명시감상] 김소월 「진달래꽃」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진달래꽃김소월 나 보기가 역겨워가실 때에는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영변에 약산(藥山)진달래꽃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가시는 걸음걸음놓인 그 꽃을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가실 때에는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은 한국 문학사에서 가장 널리 사랑받는 시 중 하나로, 이별의 슬픔과 아름다운 정한(情恨)을 담고 있습니다. 이 시는 떠나는 임을 원망하거나 붙잡지 않고, 오히려 꽃길을 마련해주며 조용히 보내겠다는 화자의 태도를 통해 애절한 사랑과 희생적인 정서를 보여줍니다.1. 시를 읽는 즐거움(1) 이별에 대한 태도화자는 떠나는 임을 붙잡지 않고, 오히려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라며 담담하게 이별을 받아들입니다. 이는 단순한 체념이 아니라, 깊은 사랑에서.. 2025. 4. 4.
밥심으로 사는 한국 사람들 〔쌀〕의 영양성분과 효능 벼(Oryza sativa)는 예로부터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중요한 식량으로 여겨옸으며, 세계적으로도 중요한 식량작물 중 하나로, 벼과(Poaceae)에 속하는 식물입니다.Ⅰ. 벼의 식물적 특성벼는 온난한 기후에서 잘 자라며, 수온 10~40℃에서 생육이 가능합니다.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수생성 작물로, 침수 상태에서 성장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1. 뿌리 - 잔뿌리 형태의 섬유근계를 가지며, 주로 표면 근처에서 분포하여 산소 공급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수경재배 시 공기뿌리(Aerating roots)를 발달시키기도 합니다.  2. 줄기 - 원기둥 모양의 중공 구조로 되어 있으며, 마디와 마디 사이가 길어집니다. - 물에 잠겨도 생존할 수 있도록 내부에 통기조직(aerenchyma)이 발달되어.. 2025. 4. 3.
동양고전철학 ❮장자(莊子)❯ 나 다움으로 세상을 살아가라 ❮장자(莊子)❯는 중국 전국시대 사상가 장자(莊周, BC 369?~286?)가 저술한 도가(道家) 철학서로, 노자(老子)와 함께 도가사상의 핵심을 이루는 책입니다. 이 책은 자연과 조화, 무위자연(無爲自然), 상대주의적 인식, 자유로운 삶의 태도 등을 강조하며, 다양한 우화와 비유를 통해 깊은 철학적 사유를 전개합니다.1. ❮장자❯의 주요 내용❮장자❯는 크게 내편(內篇), 외편(外篇), 잡편(雜篇)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내편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간주됩니다.  (1) 제1편: 소요유(逍遙遊) – 절대적 자유의 경지- “대붕(大鵬)의 비상” 이야기: 거대한 붕새가 하늘 높이 날아오르는 모습은 도(道)를 깨달은 사람의 경지를 상징합니다. - 소요유(逍遙遊)란 세상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연과 하나 되는.. 2025. 4. 2.
[명시감상] 아름다운 이 세상 천상병 「귀천(歸天)」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귀천(歸天)천상병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새벽빛 와닿으면 스러지는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 잡고,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노을빛 함께 단 둘이서기슭에서 놀다가 구름 손짓하면은,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 천상병 시인의 귀천(歸天)은 죽음을 마치 여행의 끝자락에서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처럼 묘사한 작품입니다. 시인은 죽음을 두려워하거나 슬퍼하기보다는 자연스럽고 아름다운 과정으로 받아들이며, 이를 통해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허물고자 합니다. Ⅰ. 자연의 순리를 따르는 달관자적 삶1.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 시인은 죽음을 '하늘로 돌아가는 것'으로 표현합니다. 이는 단순한 소멸이 아니라,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는 순환적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 .. 2025. 4. 1.
한국인 가장 많이 먹는 산나물 〔고사리〕 영양성분 및 효능과 활용법 고사리(Pteridium aquilinum)는 고사리과(Dennstaedt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양치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 온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식물입니다. 산과 들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어린순을 식용으로 이용합니다.Ⅰ. 고사리의 식물적 특성1. 생육 환경 - 주로 산과 들, 양지바른 풀밭에서 잘 자람 -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토양을 선호 - 강한 번식력으로 넓은 지역에 군락을 형성  2. 뿌리와 줄기 - 지하경(땅속줄기)이 길게 뻗어 번식 - 지하경에서 봄철에 어린 고사리가 돋아남  3. 잎의 특징 - 잎은 1~2m까지 자랄 수 있으며, 깃털처럼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모양 - 어린잎은 둥글게 말려 있으며, 자라면서 펴짐 - 어린순(영아부)은 부드러우며 식용 .. 2025. 3. 31.
봄철 입맛 돋우는 산나물의 왕 〔취나물〕 영양성분 및 효능과 요리법 취나물은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흔히 자라는 식물입니다. 취나물이라는 이름은 특정한 한 종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취나물로 이용되는 다양한 국화과 식물을 통칭하는 말입니다.Ⅰ. 취나물의 식물적 특성1. 생육 환경 - 해발 500m 이상의 산지에서 잘 자라며, 습기가 많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을 선호합니다. - 반그늘에서 생육이 왕성하지만, 햇빛이 충분한 환경에서도 잘 자랍니다.  2. 잎의 특징 - 넓고 부드러운 잎을 가지며, 종류에 따라 타원형, 심장형, 또는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진 형태를 띱니다. - 어릴 때는 연하고 부드러우며, 성장하면서 잎이 두꺼워지고 질겨집니다.  3. 줄기와 뿌리 - 줄기는 비교적 부드러우며, 키는 보통.. 2025. 3. 30.
봄철 미각을 살리는 〔두릅〕 영양성분과 효능 및 요리법 두릅나무(Aralia elat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입니다. 두릅나무는 봄철 미각을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나무이면서도, 약용과 생태적으로도 유용한 식물입니다. 단, 가시가 많아 조심해야 하며, 무분별한 채취는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1. 두릅나무의 특징- 학명 : Aralia elata- 분류 : 두릅나무과(Araliaceae) - 생육환경 : 산지, 야산, 들판 가장자리 등에서 자라며 햇볕이 잘 드는 곳을 선호 - 높이 : 2~5m 정도 성장하는 작은 나무 - 줄기 : 가시가 많고 껍질이 거칠며 회색빛을 띔 - 잎 :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크고 넓음 - 꽃 : 7~9월경에 작은 흰색 꽃이 핌 - 열매 : 9~1.. 2025. 3. 29.
봄은 우리에게 어떻게 오는가? 우리에게 봄은 어떻게 오는가? 도시에서는 봄이 매스컴을 통해서 오고, 황사로 온다. 프로야구 개막과 함께 응원의 함성으로 온다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농촌에서는 계절의 변화와 봄이 오는 소리를 매일매일 오감과 온몸으로 실감할 수 있다. 3월 초·중순만 해도 뒤척이고 쭈뼛거리던 봄이 하순 들어서는 오랑캐처럼 물밀 듯이 밀려온다. 숙사 들녘 너머로 겨우내 야위어 쫄쫄거리던 서시천(西施川)은 조금씩 살이 올라 햇빛에 반짝이며, 낮은 곳으로 모태를 찾아 뱀처럼 길게 흘러간다.. 깊지 않은 물 웅덩이에는 봄맞이를 나온 황새, 왜가리, 백로, 청둥오리들이 먹이사냥을 하거나, 한가로이 볕 바라기를 하고 있다. 물가를 따라 길게 늘어선 수양버들에는 어느덧 물이 올라 연둣빛이 묻어나는 실가지를 흔들며 이방인의 마음을 설.. 2025. 3. 28.
제인 오스틴 ❮오만과 편견❯ 결혼 적령기 여성들의 애정과 갈등 제인 오스틴의 대표작 ❮오만과 편견(Pride and Prejudice)❯은 19세기 영국을 배경으로 사랑과 결혼, 사회적 신분을 둘러싼 이야기를 그린 로맨스 소설입니다. Ⅰ. 소설의 줄거리베넷 가문에는 다섯 명의 딸이 있으며, 어머니는 딸들을 부유한 남성과 결혼시키는 것이 최대 목표입니다. 어느 날, 마을에 부유한 신사 빙리 씨와 그의 친구 다아시 씨가 방문하면서 이야기가 시작됩니다.  1. 첫 만남과 오해큰딸 제인과 빙리 씨는 서로 호감을 가지지만, 다아시 씨는 둘째 딸 엘리자베스(리지)에게 처음에 거만한 태도를 보이며 그녀를 무시합니다. 엘리자베스는 다아시의 오만함에 반감을 가지게 되고, 다아시 역시 그녀에게 끌리면서도 신분 차이로 인해 갈등합니다.  2. 거짓말과 오해의 심화다아시는 친구 빙리 씨.. 2025.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