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쓰레기 분리배출 올바르게 하고 있나요?

by 램 Ram 2025. 3. 24.
반응형

쓰레기는 없다는 것이 평소 내 생각입니다. 어릴 적 시골에서 살 때는 집집마다 두엄더미가 있어서 농산부산물까지도 퇴비를 만들어 사용했습니다. 음식물 찌꺼기는 가축들의 먹이가 되었고요. 요즘은 사람들이 웬만한 건 쓰레기로 만들어 버립니다.

 

전세계가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그 만큼 지구가 파괴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쓰레기 분리배출을 올바르게 하면 환경 보호는 물론, 재활용률을 높이고 폐기물 처리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일반적인 쓰레기 분리배출 요령입니다.


ⓒ네이버이미지
ⓒ네이버이미지


1.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

(1) 플라스틱

- 깨끗이 씻은 후 배출

- 용기류(페트병, 플라스틱 병뚜껑)는 라벨을 제거 후 배출

 

(2) 종이

- 종이박스, 신문지, 책자 등은 끈으로 묶어 배출

- 코팅된 종이(영수증, 아이스크림 포장지)는 일반 쓰레기

 

(3) 유리병

- 내용물을 비우고 이물질을 제거한 후 배출

- 깨진 유리는 신문지에 싸서 종량제 봉투에 배출

 

(4) 캔·고철

- 음료 캔, 식용유 통, 철사류 등은 비운 후 배출

- 알루미늄과 철 캔을 구분할 필요 없음

 

(5) 비닐

비닐은 재활용 가능한 비닐재활용 불가능한 비닐로 나뉩니다. 올바르게 분리배출하려면 각 비닐의 종류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➀ 재활용 가능한 비닐

- 깨끗하고 오염되지 않은 비닐은 비닐류로 분류하여 배출

- 물기나 음식물이 묻지 않도록 깨끗이 씻은 후 배출

 

☞ 예시

- 비닐봉지(마트·편의점 비닐봉지))

- 라면·과자 봉지 (안쪽이 은박이 아닌 경우)

- 신문·잡지 비닐 포장재

- 음료수병 라벨

- 플라스틱 포장지

 

➁ 재활용 불가능한 비닐(일반쓰레기/종량제 봉투 배출)

- 음식물이나 기름 등으로 오염된 비닐

- 코팅 처리된 비닐(잘 찢어지지 않음)

- 이물질이 포함된 비닐

 

☞ 예시

- 기름기 묻은 비닐(김밥·치킨 포장지)

- 즉석식품 용기(라면봉지 중 안쪽이 은박 처리된 것)

- 아이스크림, 커피믹스 포장지

- 에어캡(뽁뽁이) 일부 지역에서는 비닐류로 재활용 가능


ⓒ네이버이미지
ⓒ네이버이미지


2. 음식물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를 올바르게 분리배출하면 재활용이 가능해 퇴비나 사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음식물 쓰레기가 재활용되는 것은 아니므로, 반드시 구분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1) 음식물 쓰레기 종류 및 분리배출 방법

➀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 가능한 것

- 쌀밥, , 찌개, 반찬류

- 과일 껍질(바나나, 사과, 귤 등)

- 채소류(양배추, 상추, 깻잎 등)

- 생선 살, 닭고기 살 등 살코기 부분

- 달걀 껍질을 제외한 달걀 요리

 

☞ 배출 방법

- 물기를 최대한 제거하고 배출

- 비닐, 이물질 제거 후 음식물 쓰레기 전용 용기에 버리기

 

➁ 음식물 쓰레기로 버리면 안 되는 것(일반 쓰레기로 배출)

- 단단한 뼈류 : ·돼지·닭고기 뼈, 생선 대가리·

- 견과류 껍질 : 호두, , 땅콩, 피스타치오 껍질

- 딱딱한 껍질류 : 조개껍데기, ·가재·랍스터 껍데기

- 씨앗류 : 복숭아·자두·망고 씨, 단단한 씨앗류

- 기름기 많은 음식물 : 치킨뼈, 튀김 기름

- 차 찌꺼기 및 한약재 : 녹차 티백, 한약재 찌꺼기

 

☞ 배출 방법

- 위의 재료들은 일반쓰레기(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려야 합니다.

 

(2) 음식물 쓰레기 배출 시 주의할 점

➀ 물기 제거 필수

음식물 쓰레기에 물기가 많으면 악취와 벌레가 생기기 쉬움.

 

➁ 비닐·이물질 제거

음식 포장 비닐, 이쑤시개, 젓가락 등이 섞이면 재활용이 어려움.

 

➂ 지자체별 배출 기준 확인

지역마다 음식물 쓰레기 배출 방식이 다를 수 있음.(RFID 종량기, 전용 수거봉투 사용 등)


ⓒ네이버이미지
ⓒ네이버이미지


3. 폐식용유

폐식용유(튀김 기름, 사용한 식용유)는 하수구에 버리면 배관이 막히고 수질 오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르게 배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재활용 가능한 경우(지자체·전용 수거함 이용)

- 일부 지자체에서는 폐식용유를 수거하여 바이오디젤 연료로 재활용

- 가까운 주민센터, 아파트 단지, 폐식용유 수거함을 확인 후 배출

- 깨끗한 식용유(이물질 없는 것)만 수거 가능

 

(2)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경우

- 신문지, 키친타월에 흡수시킨 후 일반쓰레기(종량제 봉투)에 배출

- 플라스틱 용기에 밀봉 후 일반쓰레기 배출

- 사용한 폐식용유를 버릴 때는 하수구나 변기에 절대 버리면 안 됨.


ⓒ네이버이미지
ⓒ네이버이미지


4. 일반 쓰레기(종량제 봉투 배출)

- 재활용되지 않는 종이(코팅지, 휴지 등)

- 오염된 플라스틱 및 이물질이 묻은 비닐

- 깨진 유리, 도자기류, 일회용 마스크 등


5. 대형 폐기물

- 가구, 매트리스, 가전제품 등은 주민센터나 지자체에 신고 후 배출

- 일부 전자제품은 폐가전 무상 수거 서비스 이용 가능


쓰레기 분리배출을 올바르게 하면 환경을 보호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