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운 바다 성산포 |
이생진 |
살아서 고독했던 사람 그 빈자리가 차갑다
아무리 동백꽃이 불을 피워도
살아서 가난했던 사람 그 빈 자리가 차갑다
나는 떼어 놓을 수 없는 고독과 함께
배에서 내리자 마자 방파제에 앉아 술을 마셨다
해삼 한 토막에 소주 두 잔
이 죽일 놈의 고독은 취하지 않고
나만 등대 밑에서 코를 골았다
술에 취한 섬 물을 베고 잔다
파도가 흔들어도 그대로 잔다
저 섬에서 한 달만 살자
저 섬에서 한 달만 뜬 눈으로 살자
저 섬에서 한 달만
그리움이 없어질 때까지
성산포에서는 바다를 그릇에 담을 순 없지만
뚫어진 구멍마다 바다가 생긴다
성산포에서는 뚫어진 그 사람의 허구에도
천연스럽게 바다가 생긴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은 절망을 만들고
바다는 절망을 삼킨다
성산포에서는 사람이 절망을 노래하고
바다가 그 절망을 듣는다
성산포에서는 한 사람도 죽는 일을 못 보겠다
온종일 바다를 바라보던 그 자세만이 아랫목에 눕고
성산포에서는 한 사람도 더 태어나는 일을 못 보겠다
있는 것으로 족한 존재 모두 바다만을 보고 있는 고립
바다는 마을 아이들의 손을 잡고 한나절을 정신없이 놀았다
아이들이 손을 놓고 돌아간 뒤 바다는 멍하니 마을을 보고 있었다
마을엔 빨래가 마르고 빈 집 개는 하품이 잦았다
밀감나무엔 게으른 윤기가 흐르고
저기 여인과 함께 탄 버스에는 덜컹덜컹 세월이 흘렀다
살아서 가난했던 사람,
죽어서 실컷 먹으라고 보리밭에 묻었다
살아서 술을 좋아했던 사람,
죽어서 바다에 취하라고 섬 꼭대기에 묻었다
살아서 그리웠던 사람,
죽어서 찾아가라고 짚신 두 짝 놔두었다
삼백육십오일 두고두고 보아도
성산포 하나 다 보지 못하는 눈
육십 평생 두고두고 사랑해도
다 사랑하지 못하고 또 기다리는 사람.
제주도 서귀포에 가면 ‘그리운 바다 성산포’라는 횟집이 있습니다. 제주바다에서 1년 내내 나는 신선한 횟감으로 한라산 소주를 곁들이면 바다에 흠뻑 취할 수 있는 그런 곳입니다. 강릉시 교동에 가면 ‘그리운 바다 성산포’라는 한식당이 있답니다. 그곳도 아마 바다에 취할 수 있는 그런 곳이리라 생각됩니다. 모두들 이생진의 시 「그리운 바다 성산포」를 닮았으니까요.
이생진 시인의 「그리운 바다 성산포」는 자연과 인간, 고독과 그리움, 생과 사를 모두 포용하는 서정적인 시입니다. 특히 제주의 성산포를 배경으로 삶과 죽음을 성찰하며, 시인은 바다를 통해 인간 존재의 본질과 한계를 조용히 되새깁니다.
1. 시를 읽는 즐거움
이 시는 고독한 개인의 삶과 죽음, 바다와 섬이라는 공간, 그리고 그리움과 회한을 한데 엮어낸 작품입니다. 정적인 풍경 속에서 내면의 동요와 감정의 파문이 잔잔하게 퍼지며, 독자는 그 감정에 깊이 이입하게 됩니다.
(1) 고독과 그리움
시인은 "살아서 고독했던 사람"이라는 구절을 통해 개인의 외로움과 상실감을 표현합니다. 고독은 삶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존재로, 그 빈자리가 차갑다는 묘사를 통해 고통을 전달합니다.
(2) 바다와 절망
성산포의 바다는 사람의 절망을 삼키는 존재로 그려집니다. 바다는 고독한 사람들의 감정을 수용하며, 그들이 노래하는 절망을 듣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상징적으로 나타냅니다.
(3) 삶과 죽음
시인은 살아있을 때의 고난과 죽음 이후의 해방을 대비시킵니다. "죽어서 실컷 먹으라고 보리밭에 묻었다"와 같은 구절은 죽음이 가져오는 해방감을 암시하며, 삶에서의 고통이 죽음으로써 치유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4) 시간의 흐름
"육십 평생 두고두고 사랑해도"라는 구절은 인생의 덧없음과 사랑의 한계를 강조합니다. 시간은 지나가지만, 사랑과 그리움은 여전히 남아 있음을 보여줍니다.
2. 「그리운 바다 성산포」에 대한 단상
이 시는 성산포라는 특정 장소를 배경으로 개인의 내면적 갈등과 사회적 고립을 표현합니다. 바다는 단순한 자연의 일부가 아니라, 인간의 감정과 연결된 상징적 공간으로 작용합니다.
- 고독의 상징 : 바다와 방파제는 고독을 상징하며, 시인의 감정적 상태를 반영합니다.
- 자연의 치유력 : 바다는 고독한 사람들에게 위로와 치유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그들의 절망을 수용하는 역할도 합니다.
(1) "살아서 고독했던 사람 그 빈자리가 차갑다"
살아 있을 때 외로웠던 사람의 부재가 죽음 이후에도 차갑게 다가온다는 구절입니다.
고독은 사라지지 않고 오히려 더 깊은 상흔을 남깁니다.
(2) "해삼 한 토막에 소주 두 잔... 코를 골았다"
고독을 달래려 술을 마시지만, 고독은 취하지 않는다는 표현이 인상적입니다.
등대 밑에서 잠이 든 모습은 삶의 무게에 지친 인간의 초상입니다.
(3) "성산포에서는 사람은 절망을 만들고 / 바다는 절망을 삼킨다"
이 부분은 시의 중심 주제인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대변합니다.
인간은 절망을 안고 살아가지만, 바다는 그것을 받아들이며 묵묵히 품습니다. 바다는 곧 위안의 상징입니다.
(4) "죽어서 실컷 먹으라고 보리밭에 묻었다..."
생전의 결핍을 죽음 이후에 채워주려는 따뜻한 배려가 담겨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회상이 아닌 삶과 죽음을 이어주는 사랑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3. 주제 의식
- 그리움과 회한 : 사랑했지만 다 표현하지 못한 감정, 다 보지 못한 풍경에 대한 아쉬움.
- 죽음을 통한 회복과 위로 : 삶의 결핍은 죽음 이후 자연이 채워준다는 시인의 시선.
- 성산포의 상징성 : 자연은 고독을 품고 절망을 삼키며, 인간보다 더 깊은 이해와 침묵의 존재로 등장합니다.
4. 시적 화자의 태도
내면에 고요히 침잠하는 사색가적 태도입니다.
연민, 체념, 그러나 사랑이 깃든 회상이 시 전반을 감싸며, 감정이 절제되면서도 강하게 다가옵니다.
이 시는 바다처럼 말없이 그리움을 안고 살아가는 이들을 위한 위로의 시입니다. 우리 모두의 마음속에 있는 ‘성산포’를 떠올리게 하며, 아직 사랑을 다 표현하지 못한 이들에게 조용히 말을 건넵니다.
이생진 시인의 「그리운 바다 성산포」는 고독과 그리움, 삶과 죽음의 복잡한 감정을 담아내며, 독자에게 깊은 사유를 유도합니다. 시를 통해 우리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 그리고 개인의 내면적 갈등을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감동 시(詩, Po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시감상] 윤동주의 「서시(序詩)」 윤리적 고뇌와 자기성찰의 정수 (5) | 2025.05.06 |
---|---|
[명시감상] 김동환 「산너머 남촌에는」 자연의 아름다움이 시작되는 곳 (2) | 2025.05.01 |
[명시감상] 도종환 시인의 「접시꽃 당신」 사랑의 상실이 주는 절절한 슬픔 (2) | 2025.04.23 |
[명시감상] 도종환의 「사랑은 어떻게 오는가」 사랑의 불확실성과 그리움 (6) | 2025.04.20 |
[명시감상] 배은미 '마음을 열어주는 단 한 사람' 그런 사람을 갖고 싶다 (27) | 2025.04.13 |